본문 바로가기

Java

(7)
[JPA] 일대일 매핑에서의 지연로딩 JPA의 일대일 관계에서 지연 로딩이 불가능한 이유이에 따른 무한 참조 문제 해결 과정 일대일 관계에서는 지연 로딩이 불가능하지만 일대다 관계에서는 지연 로딩이 가능한 이유 https://mousy-hydrofoil-234.notion.site/JPA-1dd3d99b7d50802aad4ee59d139ae1e3?pvs=4 [JPA] 일대일 매핑에서의 지연로딩 | Notion문제 발견mousy-hydrofoil-234.notion.site
Switch case - 문법 if문은 경우의 수가 많은 경우 else if를 여러 번 사용해야 하고 실행 시간이 증가, 코드가 복잡해질 수가 있다. 경우의 수가 많은 경우에는 Switch문을 사용하면 case에 해당되는 실행문을 바로 실행하니 실행 시간도 짧아지고 코드도 간결해진다. Switch 조건을 제어하는 변수는 int, char, String 타입 등이 가능하다. 주사위 번호 뽑기 public class SwitchExample_1 { public static void main(String[] args) { // 주사위를 던졌을 때 나오는 1~6 사이의 숫자 하나를 num변수에 저장 int num = (int)(Math.random() * 6) + 1; // 주사위는 한 번에 한 개의 숫자만 나올 수 있으므로 한 가지 cas..
5. 키보드에서 입력된 내용을 변수에 저장하기 int keyCode = System.in.read() System.in.read()를 이용해 사용자가 입력한 키에 대한 키코드를 keyCode변수에 저장 System.in.read()가 실행되면 Console창이 엔터키가 입력될 때 까지 대기상태가 된다. Console창에 키를 입력하고 엔터키를 누르면 입력한 키와 엔터키에 대한 키코드를 읽는다. 여러 개의 키를 입력해도 순서대로 하나씩 읽을 수는 있지만 그만큼의 반복실행이 필요하다. System.in.read()은 하나의 키코드만 읽을 수 있기 때문에 2개 이상의 키가 조합된 한글은 읽을 수 없다. 이때 Scanner 클래스를 이용한다. 자바는 기본 자료형(byte, short, int, long, float, double)의 값이 동일한지 비교할 때..
4. 형변환(TypeCasting) int형으로 선언된 변수의 값 앞에 (Float) 또는 (Double)를 붙여주면 해당 형태로 형변환이 된다. Float 또는 Double형으로 선언된 변수의 값 앞에 (int)를 붙여주면 정수형으로 형변환이 된다. Byte.parseByte("문자열") Short.parseShort("문자열") Integer.parseInt ("문자열") Long.parseLong ("문자열") Float.parseFloat ("문자열") Double.parseDouble ("문자열") Boolean.parseBoolean ("문자열") String.valueOf()
3. 변수(Variables) 변수는 데이터, 값 등을 저장하는 공간 (변수의 형태) (변수의 이름) = (변수의 값 또는 내용) 문자 변수 char ch = 'A' 문자열 변수 String str = "가나다" 숫자(정수) 변수 int integer = 15 숫자(정수) 변수 long integer = 10000000000L (백억) long자료형은 마지막에 L을 붙여야하지만 int자료형의 범위 내의 정수라면 생략가능 int자료형보다 더 큰 정수를 저장 숫자(실수) 변수 float realNumber_2 = 3.14F float자료형은 마지막에 F를 붙여야함 4 byte 크기를 가지고 있다. 숫자(실수) 변수 double realNumber_1 = 3.14 8 byte 크기를 가지고 있다. 상수 키워드 final 이라는 키워드를 변..
2. 자료형(Type) 자바는 정수, 실수, 논리값을 저장할 수 있는 세 종류의 기본 자료형을 제공 기본 자료형은 총 8개이다. 참고로 String은 클래스 타입이다. 정수 자료형 byte, char, short, int, long 소스 코드에서 프로그래머가 직접 입력한 값을 리터럴(literal)이라고 한다. 자바가 정수로 인식하는 경우는 2진수(0b), 8진수(0), 10진수, 16진수(0x) char 자료형을 문자 리터럴이라고 한다. 문자 리터럴은 유니코드로 변환되어 저장되며 유니코드는 정수이므로 char도 정수 자료형이다. 실수 자료형 float, double 논리 자료형 boolean
공부 시작 첫 번째 줄의 package Ch_01;에서 Ch_01은 내가 설정한 package의 이름 세 번째 줄의 public class _01_HelloWorld에서 _01_HelloWorld는 내가 설정한 Java Class의 이름 네 번째 줄의 public static void main(String[] args)은 main이라는 이름의 메소드 영역 C에서의 int main()이랑 비슷함. 아직은 정확히는 모르겠다. psvm 또는 main이라는 단축 용어가 있다. 다섯 번째 줄의 System.out.println("Hello World!!!");는 Hello World!!!라는 문자열을 화면에 출력 후 한 줄을 띄움 sout이라는 단축 용어가 있다. System.out.print("Hello World!!!"..